어제 링크나우가 자사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웹메일 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
이 자료에 따르면 이메일의 대명사이던 다음 한메일이 네이버 메일에 1위 자리를 내 주고 네이트와 구글 지메일이 급부상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네요.

각각의 점유율을 간단히 살펴보면 네이버가 26.1%로 1위 다음과 한메일을 합친 다음 메일은 24.2%로 아깝게 2위를 차지했습니다.
3위가 11.8%로 네이트고요.
놀랍게도 지메일이 9.3%로 4위를 달리고 있군요.
msn과 뜨거운 메일은 미지근하게 7.2%, 그 뒤로 파란과 엠파스, 야후 등이 줄줄이 있군요.
링크나우는 보도자료에서 2000년대 전반까지 전체 웹 메일 서비스의 50% 전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던 다음 메일과 약 20%를 차지하던 엠파스 메일이 2위였는데, 판도가 크게 달라졌다고 기록해 두었던데요...
사실 이 자료를 어디까지 신뢰할 지는 좀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 봐야 할 듯합니다.
일단 링크나우의 조사는 자사의 회원인 4만7천명을 모델로하고 있다는 점이 좀 그렇습니다.
SNS 서비스를 즐기는 직장인. 그중에서도 5만명 정도밖에 안 되는 사람들을 표본으로하여 전체 웹 메일 서비스의 점유율을 가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듯하기 때문입니다.
아무튼 지메일이 4위라니 ㅎ.ㅎ
이 자료에 따르면 이메일의 대명사이던 다음 한메일이 네이버 메일에 1위 자리를 내 주고 네이트와 구글 지메일이 급부상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네요.
각각의 점유율을 간단히 살펴보면 네이버가 26.1%로 1위 다음과 한메일을 합친 다음 메일은 24.2%로 아깝게 2위를 차지했습니다.
3위가 11.8%로 네이트고요.
놀랍게도 지메일이 9.3%로 4위를 달리고 있군요.
msn과 뜨거운 메일은 미지근하게 7.2%, 그 뒤로 파란과 엠파스, 야후 등이 줄줄이 있군요.
링크나우는 보도자료에서 2000년대 전반까지 전체 웹 메일 서비스의 50% 전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던 다음 메일과 약 20%를 차지하던 엠파스 메일이 2위였는데, 판도가 크게 달라졌다고 기록해 두었던데요...
사실 이 자료를 어디까지 신뢰할 지는 좀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 봐야 할 듯합니다.
일단 링크나우의 조사는 자사의 회원인 4만7천명을 모델로하고 있다는 점이 좀 그렇습니다.
SNS 서비스를 즐기는 직장인. 그중에서도 5만명 정도밖에 안 되는 사람들을 표본으로하여 전체 웹 메일 서비스의 점유율을 가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듯하기 때문입니다.
아무튼 지메일이 4위라니 ㅎ.ㅎ
'아이티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성전자도 넷북 시작에 뛰어들었군요!!! (3) | 2008.09.20 |
---|---|
아름다운 컬러 시크릿 출시 (1) | 2008.09.19 |
다음 메일 지고 지메일 뜨나???? (2) | 2008.09.18 |
다음체 무료로 다운받아서 써 보세요 (1) | 2008.09.17 |
아무데서나 사용할 수 있는 무선마우스 블루트랙 (3) | 2008.09.17 |
구글이 테터앤컴퍼니를 인수했군요!!!! (1) | 2008.09.12 |
뭐 링크나우 회원들에 한해서겠지만요 ^^
아직까지 한메일을 쓰는 사람들이 더 많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.
링크나우란 사이트가 자사 홍보하려고 낸 도발적 기사라고 보여지네요. ^^
9월3주 현재 한메일은 주간 순방문자 976만명, 지메일은 30만4천명 수준입니다. 페이지뷰는 한메일 2억3천만, 지메일 4백만 수준이고요. 현재 국내 메일서비스 점유율은 랭키닷컴 자료를 보면 9월3주 기준으로 한메일 48.43% 네이버메일 35.72% 엠파스엠팔 5.12% 뭐 대충 상위 3개사가 90% 정도 되네요.(정확히는 89.27%) 그 뒤로 파란 네이트 드림위즈 야후 순으로 점유율이 나오고 구글 지메일은 뭐... 국내에서는 듣보잡이죠. 0.0X % 점유율 정도. 코리안클릭 자료도 비슷할껍니다.
블로그 스피어에서는 맨날 구글 애플 등등 이야기 하고 지메일 쓰시는 분들도 많지만 이 바닥이 워낙 좁듯이 위 기사도 그렇게 생각하시면 될 듯. 지난 대선때도 블로그 스피어 대세는 문국현 아니었습니까. 하지만 까보니까 5% 수준. 블로그 스피어에서 치고 박고 토론하고 그래봤자 찻잔 속의 태풍이라고 자조했었던 기억이 나네요.